사회 초년생 시절,월급날이 되어 월급명세서를 받아보면 연봉협상할 때 말한 연봉에서 12를 나눈 돈과 달라서 어리둥절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. 연봉협상 했을 때는 분명 5000만원 이었는데 이상하게 내 통장에 입금된 금액은 3000÷12=250만원이 아닌 220만원 이거나 그보다 더 적게 들어왔기 때문입니다. 이러한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은 '원천징수' 때문입니다.
원천징수란 사업자가 종업원 등 소득자에게 각종 소득(급여, 사업, 기타소득)을 지급할 때
사회 초년생 시절,월급날이 되어 월급명세서를 받아보면 연봉협상할 때 말한 연봉에서 12를 나눈 돈과 달라서 어리둥절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. 연봉협상 했을 때는 분명 5000만원 이었는데 이상하게 내 통장에 입금된 금액은 3000÷12=250만원이 아닌 220만원 이거나 그보다 더 적게 들어왔기 때문입니다. 이러한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은 '원천징수' 때문입니다.
원천징수란 사업자가 종업원 등 소득자에게 각종 소득(급여, 사업, 기타소득)을 지급할 때에 소득자가 납부해야되는 세금을 미리 징수하여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.
사업자는 급여 등을 종업원(근로자)에게 지급할 때 소득세를 원천징수 합니다. 그리고 종업원등 근로자에게 원천징수 영수증을 교부합니다. 사업자는 원천징수 한 달의 다음달 10일 까지 원천징수 이행 상환 신고서를 세무서에 제출 및 원천징수한 세액을 납부 해야합니다.
원천징수는 국가에서 국민 개개인의 소득세를 모두 관리할 필요없이 법인만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수월하게 세금을 걷을 수 있고 비용도 절감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행하고 있는 것입니다. 국가입장에서는 소득과 수입파악이 되기 때문에 탈세를 방지하고, 납세자 입장에서는 세부담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4대보험
월급이 통장에 들어오기 전 먼저 빠져나가는 비용인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4대보험은 대략 월급의 8.5%가 빠져나가게 됩니다.
1. 국민연금
국민의 의무로써 국민연금은 월급의 9%를 내도록 되어 있고, 반은 근로자가 내고 반은 사업주가 냅니다. 근로자는 4.5%를 내게 됩니다. 상한선 기준이 있어서 소득월액 421만원 (연봉으로는 5020만원). 월급이 550만원 이라면 550만원X4.5% 를 내는 것이 아니라 상한선이 421만원 X 4.5% 를 내는 것 입니다.
2. 건강보험
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인 건강보험은은 월급의 6.07%를 내게 되있고 그중에 반은 근로자가 내고, 반은 사업주가 냅니다. 월급의 3% 정도를 낸다고 보면 되고, 건강보험을 통해 병원진료비의 혜택을 누릴수 있게 됩니다.
3. 장기요양보험료
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3%를 부담하게 됩니다. 역시 반은 근로자가 내고, 반은 사업주가 부담하게 됩니다.
4. 고용보험
급여의 0.65%의 금액중에서 반은 근로자가 내고, 반은 사업주가 부담하게 됩니다. 국가에서 고용보험사업 (실업급여, 고용안정사업, 직업능력개발사업) 에 쓰는 비용으로 쓰입니다.
소득세
소득세는 급여소득, 상여금, 부양가족 수에 따라 등급이 달라져서 계산이 됩니다. 공제대상 가족이 있다면 소득세는 내려가게 됩니다.
프리랜서와 3.3%
월급받는 근로자가 매월 8.5%의 돈을 월급에서 떼진다고 한다면, 프리랜서( 학원강사, 작가, 배우 등) 는 월급의 3.3% 가 떼진다고 보면 됩니다. 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0.3% 에 해당합니다.
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 방법
공인인증서가 있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 인터넷으로 발급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롭지 않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. 오프라인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은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민원발급기나 창구를 통해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
1.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2. 로그인을 해주세요.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을 받기 위해서는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 및 공동인증서 그리고 금융인증서 등이 필요합니다.
3. 메인 페이지 우측상단에 My 홈택스 메뉴가 보입니다.
4. 여기서 [연말정산/ 지급명세서] 카테고리에 들어가서 [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] 을 클릭하면 지금까지 원천징수를 해왔던 내용이 표로 정리되어 연도별로 화면에 표시되어 나옵니다.
해당되는 연도를 확인하고 발급을 필요로 하는 연도 좌측에 [보기]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이 포함된 근로소득 지급명세서의 내역을 볼 수 있고 발급받을수 있습니다.
5.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PDF 파일로 받고자 할 때는 보기 버튼을 클린한 다음 인쇄아이콘을 선택하고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팝업에서 [대상] 을 [PDF로 저장] 으로 변경하여 저장하면 됩니다.
처음 시도할 때는 다소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.
'재테크,경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종합부동산세 계산하는 방법 (0) | 2022.08.09 |
---|---|
등기부등본에서 중요하게 확인할 사항 (0) | 2022.08.09 |
종자돈 1억 만드는 방법 (0) | 2022.08.07 |
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하는 방법 (0) | 2022.08.07 |
종자돈 모을수 있는 포트폴리오 짜는 방법 (0) | 2022.08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