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사를 하게 되면 필수적으로 전입신고를 하게 되는데요. 전입신고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. 전입신고 란?
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하면 새로 살게 된 곳의 관할 관청에 그 사실을 알리는 일, 서류 를 말합니다.
전입신고는 이사한 날 로부터 14일 이내에 전입 거주지 관할 기준 (주민센터 ) 에 신고해야 합니다.
만약 정당한 이유없이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하지 않는다면 과태료 5만원이 부과됩니다.
전입신고를 한 다음날 0시 부터 세입자의 대항력이 발생하는데, 대항력이란 임차인이 제3자에게 자신의 임대차 관계를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.
만약 거주지의 소유권을 본인이 가지고 있다면 이 권리는 의미가 없지만 만약 본인이 임차인 이라면 임차권을 보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큰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.
즉 거주지의 소유권자가 바뀌게 되어도 세입자는 이전 주인과의 계약에 의한 권리를 행사 할 수 있습니다.
2. 전입신고 하는 방법
1. 직접 방문할 때
직접 방문할 때는 주민센터에 가면 됩니다.
준비물은 전,월세 계약서, 본인 신분증과 인감이 필요합니다.
전입신고서 작성후 창구에서 전입신고를 합니다. 전월세 계약서와 전입신고서를 같이 제출하시면 됩니다.
2. 온라인으로 할 때
온라인으로 할 때는 '정부 24' 에서 신청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8dfG/btruVLUhShw/WNiGLKF0VWwDHqxuZ5nDfK/img.png)
1.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검색창에 [ 전입신고 ] 를 검색합니다.
2. 신청서비스 -> 전입신고 - '신고' 를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IYbK/btruW9Am9D1/jcRgzoBJIdVs2kqOhONcZ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E5qr/btruWjQLsLs/HSylJFOT0CApoICm03mLsK/img.png)
3. 로그인을 합니다.
4. 전입신고 내용을 확인하고 아래에 '예' 를 체크하시고 '확인' 을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GPVok/btruXbkGxR8/kIJajRkcwRbHDFY7Go0x9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MiVJ/btruXaF1Z5j/uxRBQLAlOTZtpnMasMUEZk/img.png)
5. 신청인 정보입력을 정확하게 하시고, 전입사유를 선택한 후 다음단계를 누릅니다.
6. '이사 전 살던 곳' 을 정확히 입력합니다.
7. '이사 온 곳' 을 정확히 입력합니다.
8.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를 신청하면 이전 주소지의 우편물을 이사온 곳에서 받아 볼 수 있으며, 세대원 중에 초등 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, 초등학교 배정정보를 작성합니다.
9. 마지막으로 '민원 신청하기' 를 누르면 전입신고가 완료됩니다.
* 유의사항 *
- 기존 세대 전부이동과 일부세대 이동의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혼동하지 않고 선택 해야 합니다.
- 온라인 신청의 경우 힌청 후 처리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- 온라인 전입신고는 한달에 1번만 가능합니다.
'재테크,경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계약시 공인중개수수료 (0) | 2022.08.17 |
---|---|
갭투자란? (0) | 2022.08.17 |
확정일자 받는 방법 (0) | 2022.08.16 |
상가계약할 때 주의할 점 (0) | 2022.08.15 |
부동산 일반임대사업자 등록하는 방법 (0) | 2022.08.14 |
댓글